성공창업을 위한 플래닝 성공창업을 위한 플래닝

2014-12-02 오전 10:53:32

도전을 앞둔 예비 창업자들의 승리 비결은 세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략이다. 둘째는 정보력, 셋째는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피터 드러커는 기업가 정신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 ‘무모한 도전이 기업가 정신이 아니다. 합리적인 전략과 과학적인 경영으로 위험을 줄이는 것이 기업가 정신이다.’ 창업이 두려운 이유는 불확실성 때문이다. 좋은 플래닝은 혼란과 불안을 없애고, 어두운 길을 환하게 밝혀 줄 수 있다. 앞으로 생길 문제를 미리 짚어보고 대비책을 가지고 있다면 두려움은 줄어든다.
창업 플래닝은 다른 모든 일과 마찬가지로 plan-do-see 사이클이 중요하다. 계획을 세우고(plan) 실행하고(do) 반성하는(see) 것을 말한다. Plan-do-see 사이클을 잘 실천하면 시작단계에서는 미숙해도 점차 개선되고 발전하여 향상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플랜은 구체적인 수행계획인데 일반적으로 좋은 계획을 판단하는 기준을 SMART라는 5가지 요소로 본다. S는 specific, 얼마나 구체적인가 이다. M은 measurable, 측정가능성이다. A는 achievable, 성취가능성. R은 realistic 현실성. T는 timely 시의 적절성이다.모든 계획은 시의성과 현실성에 바탕을 둬야 하며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성취할 수 있는 법이다.
창업 플래닝을 위한 사이클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창업하기 전에 사업계획을 수리하는 것이다. 책상 위에서도 이기지 못하는 전략으로 현장에 나가서는 이기기 어렵다. 사업계획을 치밀하게 짜면 불명확했던 것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예상하지 못했던 것을 예상 할 수 있으며, 더 나은 방법과 전략을 만들 수 있다.
창업자 자신의 특성에 따라 좋은 사업 플랜을 위해 알아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명확성, 구체성이다. 모든 플랜은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으로 기술되어 있어야 한다. 너무 포괄적이고 구체적이지 않으면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의미가 없다. 사업 아이디어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경쟁우위의 상세 내역이 무엇인지, 타겟 고객이 누구인지, 예상하는 매출액이 얼마인지 분명해야 한다. 또 유망하다가 아니라 왜 유망한지의 근거를 명확히 해야 한다. 어떤 인력을 채용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정리해야 한다. 사업 모델을 기술할 때는 너무 포괄적이어서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수익 모델의 내용과 상품의 내용이 명확해야 한다. 특히 자금계획과 손익 분석자료는 구체적이고 자세해야 한다.

둘째, 고객 가치, 혁신성, 경쟁우위이다. 사업은 창업자가 꿈을 이루기 위한 것이지만 사업의 성공은 고객이 받는 가치가 명확하고 경쟁우위가 있어야 가능하다. 경쟁자에 비해서 어떤 장점이 있는가 고객이 느끼는 가치는 무엇인가, 기존의 제품이나 상품과 다른 혁신성은 있는가 등이다. 단순히 채워야 할 항목을 나열하기만 한다면 잘 된 사업계획서라고 할 수 없다.

셋째, 시장의 전망이다. 보통 명확한 근거없이 유망하다고 기술하는 경우가 많은데 왜 유망한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넷째, 리스크와 대응전략이다. 전체 사업계획서 중에 리스크에 대해서는 아예 언급이 없거나 리스크를 언급해도 대응방안이 없는 사업계획서가 많다. 사업계획서 작성의 가장 큰 목적중의 하나는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다섯째, 경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소규모 사업이나 자영업은 경쟁이 치열하다. 경쟁에서 지기 때문에 실패하는 것이다. 경쟁자의 범위도 다양하다. 경쟁자의 강점과 약점, 경쟁자의 상품 가격 전략 등 경쟁자에 대해서 가급적 자세하게 기술해야 한다. 막상 창업을 하고 나면 매일의 일상이 바빠서 경쟁자를 분석하고 들여다보기 어렵다.

여섯째, 객관성이다. 많은 사업계획서가 객관성이 부족하고 창업자의 주관적인 전망과 장점에 대한 기술로만 채워져 있는 경우가 많다. 지나치게 과장되거나 과소한 수치로 되어있는 경우도 많다. 사업계획서 작성의 중요한 목적중의 하나가 사업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이므로 객관적인 시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객관성을 유지하는 방법에는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장 방문과 관계자와의 면담도 중요하다.

일곱째, 정량적 내용과 정성적 내용의 조화이다. 사업계획서는 숫자로 표현된 정량적인 내용과 비젼,가치등과 같은 정성적인 내용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계획은 없는 것보다 낫지만 실천하지 않는 계획은 무의미하다. 초심을 잃지 앟기 위해서는 사업계획서에서 정한 중요한 원칙 등을 종업원과 고객과 공유하고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실행후 평가를 통해 더 나은 계획을 수립하고 기존의 방식을 개선하고 혁신한다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이다.

태그 : 용산소호사무실 소호사무실 용산비즈니스센터 용산사무실 소호즈니스센터 비즈니스센타

문의하기 02-706-0204